톰캣으로 개발을 진행하려할 때 가장 처음에 막히는 부분은 웹어플리케이션의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을 올려서 동작시키기만하면 되던 PHP와는 달리, 자바 서블릿&JSP에서는 웹어플리케이션이라는 하나의 단위로서 해당하는 파일들의 관리를 해줘야한다.
일반적으로 Tomcat에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에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SERVER_ROOT에서 생성시켜야한다. Tomcat이 /usr/local/apache-tomcat 에 설치되어있다면 SERVER_ROOT는 /usr/local/apache-tomcat/webapps 가 된다.
해당하는 루트에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자. 이름을 firstapp 이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를 가져야한다.

일반적으로 Tomcat에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에는 서블릿 컨테이너의 SERVER_ROOT에서 생성시켜야한다. Tomcat이 /usr/local/apache-tomcat 에 설치되어있다면 SERVER_ROOT는 /usr/local/apache-tomcat/webapps 가 된다.
해당하는 루트에 웹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자. 이름을 firstapp 이라고 한다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를 가져야한다.
- /firstapp : 웹어플리케이션의 루트 디렉토리. JSP나 HTML을 보관한다.
- /firstapp/WEB-INF : 웹어플리케이션 루트에 포함되지않을 모든 애플리케이션 및 자원이 포함된다. 또한 배치지시자(DD)가 저장되는 곳이다.
- /firstapp/WEB-INF/classes: 서블릿 및 기타 유틸리티 클래스를 넣어두는 곳
- /firstapp/WEB-INF/lib: 의존하는 각종 자바 압축파일을 넣어둔다. 예를 들면 JDBC 드라이버등을 들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