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에서 나온 Fixed-Schedule Productivity의 요점은
따라서 다음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 일과 휴식의 균형이 이상적이라고 생각되는 근무시간의 스케쥴을 정하고
- 이 스케쥴을 깰 수 있는 어떤 상황이든 거부한다
따라서 다음의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 작업중인 많은 프로젝트를 과감히 쳐낸다.
- 일일 스케쥴에서 불필요한 습관을 없앤다
- 자유시간을 얻는 대가로 다른 사람을 자극할 수 있다.
- 미루는 습관을 없앤다.
- 작업을 직렬화한다. : 프로젝트 큐를 만들어서, 개별 큐의 최상단에 위치한 프로젝트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것이 끝나야 다음 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하여, 집중도를 높인다.
- 결과를 내야할 시점이 언제쯤인지 명확하게한다: 누군가가 큐에 할일을 넣을 때, 이를 평가해서 언제쯤 수행해야할지를 정한다. 이에 대해서 의사소통을 한다.
- 프로젝트 수행중에 큐가 너무 복잡해져서 특정 프로젝트를 제시간에 마칠 수 없을 것 같다면, 거절한다.
- 프로젝트가 제어범위를 벗어나서, 스케쥴의 시간을 지나치게 잡아먹기 시작한다면, 프로젝트를 버린다. 다른 더 중요한 일이 다가오고, 큐에 있는 어떤 일과 충돌하게된다면, 좀 덜 중요한 프로젝트를 버린다. 예상시간이 너무 길다면 중지한다. 어느 누구도 당신이 작은 부분에서 무엇을 하는지 궁금해하지 않는 다는 점이 중요하다. 최종적으로, 중요한 완료리스트를 가지고 스스로 판단해야한다.
- 숨어라. 종종 아무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고는 하는데, email같은 수단이 아니고서는 접촉할 수 없게한다. 하지만 굳이 모든 일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내가 일을 완료하는 것ㅇ이다.
- 순차작업과 습관화하기. 어떤한 규칙적인 작업이 있다는 이를 그냥 습관화한다. 일요일 아침에 블로그를 쓴다던가, 세미나 자료를 금요일이나 월요일 오전에 읽는 등이다. 습관화된 스케쥴은 비정규적인 프로젝트에 착수하기 쉽게한다. 또한 스케쥴이 해야할 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 일찍 시작한다. 어떤 일을 실제보다 2,3주 먼저 시작할 필요가 있다면 그렇게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